양주 국가유산
양주를 대표하는 국가유산
양주별산대놀이
[국가무형유산 제2호] 남녀의 갈등, 양반에 대한 풍자-모욕, 서민 생활의 빈곤상 등 당시의 현실 폭로와 특권 계급에 대한 반항정신을 표현한 놀이
양주소놀이굿
[국가무형유산 제70호] 양주소놀이굿은 우마 숭배와 농경의례인 소먹이놀이에 기원을 두고 무속의 제석거리와 마마배송굿 등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된 놀이
양주상여·회다지소리
[경기도 무형유산 제27호] 죽은자에 대한 애도와 상여를 장지까지 운반하고 무덤을 만들기 위해 땅을 다지는 노동의 호흡을 고르고 흥을 돋우기 위한 노동요
양주들노래
[향토무형유산]
넓은 곡창지대에서 소리와 놀이가 발달한 양주는 황해도와 서울·경기 소리가 어우러진 독특한 음색을 지니며, 높이 질러내는 창법과 풍부한 장식음 특징인 독창적인 노동요
양주 관아지
[경기도 기념물 제167호]
조선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417년간 양주목을 다스리던 관청이 있던 곳으로 양주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관아 터
어사대비
[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제 82호] 옛 양주관아가 있던 터에 자리하고 있는 비(碑)로, 왕이 이곳에 들러 활을 쏘았던 일을 기념하여 세운 비(碑)
양주향교
[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제2호] 양주향교는 태종 1년(14001년)에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국립 교육기관
영문, 숫자,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8~20자로 입력해주세요.